728x90
반응형
아이들을 위해서 내가 해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게 됩니다. 그렇게 하기 위해서 아이가 태어나면 계좌를 만들고 거기에 아이에게 들어오는 수당을 넣어서 실제로 아이가 필요할 때 혹은 경제적 관념을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. 어렸을 때부터 하는 경제교육은 이제 부모님의 의무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.
신생아 계좌 만드는 방법
- 서류 준비
- 가족관계증명서: 아이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부모님이나 법정대리인이 준비해야 합니다.
- 주민등록등본: 아이와 보호자의 가족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이 필요합니다.
- 보호자 신분증: 부모님 혹은 법정대리인의 신분을 확인할 신분증이 필요합니다.
- 자녀 도장: 부모도장으로 해도 되지만 자녀 도장이 있으면 나중에 같이 주면 좋습니다.
- 은행 방문 및 계좌 개설 신청
- 은행의 창구를 방문하여 신생아 명의 계좌 개설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
- 직접방문 시 챙겨야 할 서류: 공인인증서, 잔고증명서, 거래내역서
- 통장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, 대개 일반 입출금 통장을 개설합니다. 최근엔 아이 전용 통장으로 특별 혜택이 있 는 상품을 제공하는 은행도 많으니, 미리 알아보시면 좋습니다.
- 온라인으로 하는 경우 : 정부 24에서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 온라인이 어려울 경우 직접 방문 을 해주세요. 저는 온라인에서 시도 하고자 합니다.
- 대리 개설 동의서 작성
- 아이는 미성년자이므로 보호자가 대리 개설에 동의하는 서류를 작성해야 합니다. 대부분의 은행은 보호자의 대리인 동의 서명을 요구합니다.
- 계좌 개설 확인
- 계좌가 개설되면 아이의 이름으로 된 통장과 체크카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아이가 자라면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보관하세요.
신생아를 위한 투자 방법
아이의 계좌가 개설되면, 다양한 투자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신생아를 위한 투자 상품을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.
- 적금 및 예금
- 장기 적금: 자녀의 교육비나 결혼 자금을 미리 마련하기 위해 장기 적금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. 예를 들어,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적금은 고정 수익률을 제공해 안정적입니다.
- 예금 상품: 은행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예금 상품을 선택해 볼 수 있으며, 예금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지만 원금이 보장되어 안정적입니다.
- 펀드 투자
- 적립식 펀드: 적은 금액으로도 펀드 투자가 가능하며, 매달 일정 금액을 투자할 수 있습니다. 주식형 펀드, 채권형 펀드 등 다양한 옵션이 있으므로,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ETF: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면서 분산 투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ETF(상장지수펀드)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투자 옵션입니다. (제가 고려하고 있는 방법이고, ETF를 이용하여 아이에게 알려주고 조금 더 크면 주식과 부동산도 알려주고자 합니다.)
- 주식 소액 투자
- 미성년자를 위한 주식 투자는 법적 제한이 있으나, 보호자의 계좌를 통해 일부 소액을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보호자가 대신 관리하면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종목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- 연금저축 및 교육보험
- 연금저축: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노후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자녀가 성인이 되어 직접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.
- 교육보험: 대학 등록금이나 교육비를 미리 준비할 수 있는 교육보험 상품은 아이가 성장할수록 가치를 발휘합니다.
부모로서 주의할 점
- 분산 투자: 하나의 금융 상품에 모든 자금을 투자하기보다는 분산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.
- 장기적인 계획 수립: 아이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기 때문에,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세요.
- 정기적인 자산 점검: 일정 기간마다 투자 현황을 점검하고, 필요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증여세 신고가 필요
2024.11.06 - [육아를 위한 Tip] - 자녀에게 증여하기 위한 방법(증여세의 모든 것) 7단계로 이해하기
자녀에게 증여하기 위한 방법(증여세의 모든 것) 7단계로 이해하기
1. 증여세의 개념과 기본 사항증여세란?증여세는 부모가 자녀에게 자산을 증여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 부모나 조부모가 자산을 자녀나 손자에게 무상으로 줄 때, 증여받은 사람에게 증여세
ggoby.tistory.com
신생아 시기부터 경제 교육을 미리 준비하는 것은 아이의 미래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 저도 지금부터 준비해서 하겠습니다.
728x90
반응형
'아이에게 알려주는 세상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B증권 아이 명의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(2025년 최신 가이드) (2) | 2025.01.16 |
---|---|
수수료 없이 휴대폰으로 가족관계등록부 인터넷 발급하는 방법(정부24시, 자녀 기준 발급)! (0) | 2025.01.15 |
9한국주택금융공사 vs 주택도시기금 차이점 완벽 정리!(서민 주거안정 필수정보) (4) | 2024.12.17 |
주택도시기금 신생아 특례대출 신청 방법 한눈에 정리!(서류, 절차 완벽가이드, 주택구입자금대출) (6) | 2024.12.16 |
2024년도 신생아 특례 디딤돌 대출의 모든 것 (32) | 2024.1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