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아이에게 알려주는 세상 이야기

홈택스를 통한 자녀 증여세 신고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(미성년자녀포)

by 꼬비( ggoby) 2025. 1. 29.
728x90
반응형
건똑이에게 매년 S&P 500을 ETF로 주고자 합니다. 그래서 아이의 계좌에 200을 넣어 주었는데요. 이를 증여세로 신고하여 추가적인 이득 부분에 대해서는 아이가 고스란이 가져갈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습니다. 그래서 오늘은 미성년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, 부모님이 홈택스를 통해 증여세를 신고하는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.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, 증여세 공제 금액과 신고 방법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. 아래에서 단계별로 확인해보세요.

 

 

 


자녀 증여서 공제 한도

 

  • 기본 공제 금액: 미성년 자녀의 경우, 10년 동안 2,000만 원까지 증여세가 공제됩니다. 성인 자녀는 5,000만 원까지 공제되지만, 미성년 자녀는 공제 한도가 더 낮습니다. <그래서 꼬비는 건똑이에게 20살이 될 때까지 총 4000만원을 20년 동안 할 예정입니다>
  • 추가 주의사항:
    • 미성년 자녀 명의로 된 예금, 보험, 주식 등이 갑작스레 증가할 경우 국세청에서 자금 출처를 조사할 수 있으니, 증빙자료를 철저히 준비하세요.
    • 증여세 신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추후 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 

국세청 세액계산 흐름도

 

 


 

 

자녀 증여세 신고 절차

 

1. 홈택스 로그인

자녀 명의로 홈택스에 접속해 로그인합니다. 자녀명의로 홈택스 가입하는 방법을 자세히 써놓았습니다.(아래확인)

2025.01.25 - [아이에게 알려주는 세상 이야기] - 미성년 자녀 홈택스 가입 OK, 보호자 휴대전화로 인증하는 쉬운 방법

 

미성년 자녀 홈택스 가입 OK, 보호자 휴대전화로 인증하는 쉬운 방법

미성년 자녀의 홈택스 회원가입은 다양한 이유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세금 환급, 장학금 신청, 가족 지원 관련 서류 발급 등에서 유용하죠. 하지만 미성년자의 경우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

ggoby.tistory.com

 

 

아이디로 로그인

 

 



2. 증여세 신고 메뉴 선택
 [세금신고] → [증여세 신고]→ [일반증여신고]→ [현금증여 간편신고]

 

 

 


 

3. 신고서 작성

 

▶ 증여자 정보 입력: 증여일자, 주민등록번호

 

▶수증자(현금을 받은 사람) 정보 입력

  • 자녀의 이름, 주민등록번호, 주소를 입력합니다. 
  • 수증자 부분이 맞으면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
  • 증여자와의 관계를 저는 딸이기 때문에 자 '자'로 체크 후 전화번호 입력
  •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 체크 후 다음으로 이동

 


 

4. 공제 금액 및 세액 계산

  • 기본 공제 금액 2,000만원 이하는 자동 반영됩니다.(저희는 1년에 200만원씩)
  • 공제 금액을 초과한 경우, 과세 표준에 따라 증여세율이 적용됩니다.(예를 들어, 증여재산이 5,000만 원인 경우, 2,000만 원을 공제한 3,000만 원에 대해 세율이 적용됩니다.)

 

 

 


 

5. 증여세 신고서 제출

  • 필요 시 증빙서류(재산의 평가 내역, 자금 출처 서류 등)를 첨부합니다.
  • 모든 내용이 정확하다면 [제출] 버튼을 눌러 신고서를 제출합니다.
  • 증여세 신고 제출 후 신고서 접수증을 보관합니다.

 

  • 최종적으로 신고내역을 확인 후 종료합니다.

 

 

 


 

 

 

미성년 자녀 증여시 추가 유의 사

 

  1. 자금 출처 조사:
    • 미성년 자녀는 경제활동을 할 수 없으므로, 자녀 명의로 재산이 증가하면 부모의 증여로 간주됩니다.
    • 이 경우, 증빙자료(계좌이체 내역, 부동산 증여 계약서 등)를 반드시 준비하세요.
  2. 재산 관리 의무:
    • 미성년 자녀 명의로 증여받은 재산은 부모님이 관리할 수 있지만, 이 과정에서 재산이 훼손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.
  3. 증여세 신고 기한:
    • 증여일로부터 3개월 이내 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신고 기한을 꼭 지키세요.

 


 

 

미성년 자녀에게 증여할 때는 법적 요건을 철저히 준수하고, 홈택스의 간편한 신고 절차를 활용해 안전하게 신고를 마무리하세요.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국세청(126번)에 문의하면 추가적인 도움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